Intro
CloudNet@ 에서 진행하는 Terraform 101 Study에 참여하게 되었다.
막연했던 Terraform을 누군가 알려주고 누군가와 토론할 수 있다는 점이 기대되어 티켓팅(?) 하듯 호다닥 참여하였다.
겸사겸사 이번 기회에 블로그를 시작해야겠다는 생각도 생겨 하나씩 추가하려 한다.
Terraform 으로 시작하는 IaC
스터디 서적은 한빛미디어에서 출간한 "Terraform으로 시작하는 IaC" 이고,
아직 전부를 읽지 않았지만, 생각보다 기초적인 부분을 잘 정리해놓은 것 같다.
스터디를 해당 서적으로 진행하므로 해당 책을 바탕으로 정리하겠다.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2478097
Terraform은?
Terraform은 HashiCorp에서 개발한 IaC 도구이다.
사용자는 HCL을 이용해 선언형 언어나, JSON을 사용하여 Infrastructure를 정의한다.
AWS Cloud Formation는 AWS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제약이 있는 반면, Terraform은 다양한 Provider를 제공하기 때문에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통신은 API로 수행한다.)
Terraform의 개발 언어는 Go로 되어 있으나, Client는 HCL이라는 자체 선언형 언어로 리소스를 정의하고 반영할 수 있다.
Terraform의 제공 유형
Terraform은 Open Source 형태 뿐 아니라 총 3가지의 유형으로 제공된다.
- On-Premise : Terraform이라고 통칭하고, User 컴퓨팅 환경(local, bastion)에 오픈소스 바이너리 툴을 통해 사용
- Hosted SaaS : Terraform Cloud라 불리는 SaaS 형태로 제공되는 구성 환경으로 하시코프 Managed 서버가 제공
- Private Install : Terraform Enterprise로 불리는 설치형 환경으로, 기업 내부망에 구성되므로 외부 네트워크와 격리
'Cloud > Terraf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T101] Terraform 101 Study 2주차 (3) (0) | 2024.06.22 |
---|---|
[T101] Terraform 101 Study 2주차 (2) (0) | 2024.06.21 |
[T101] Terraform 101 Study 2주차 (1) (0) | 2024.06.18 |
[T101] Terraform 101 Study 1주차 (3) (0) | 2024.06.15 |
[T101] Terraform 101 Study 1주차 (2) (0) | 2024.06.10 |